Everything505 훌륭한 과학 멘토의 8가지 조건 네이처 과학 분야 창의적 스승 상 2009년 05월 15일(금) 오늘은 행사의 달 5월의 큰 축을 이루는 스승의 날이다. 스승의 위대함은 한 사람의 인생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 그러니 우리가 스승의 가르침과 지도에 감사드리는 것은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오늘 전국 곳곳의 초·중·고뿐 아니라 대학에서는 스승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한 행사가 벌어지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날의 주인공인 스승들은 어떤 마음일까? 잘 가르쳤다고 스스로 뿌듯해 하며 기쁜 마음으로 자리에 앉아 있을까? 아마도 이런 생각보단 못 해준 아쉬움이 더 클 것이다. 그럴 만도 한 게 학생을 잘 지도하는 좋은 스승이란 건 실제로 교사로서 혹은 교수로서 승진을 하는 데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특히 대학의 경우, 부교수, 정교수로 .. 2009. 5. 17. 키를 쑥쑥! 성장 호르몬의 비밀 “아빠! 동생 서현이가 제 성장이 중세시대에 멈췄다고 자꾸 놀려요!” 태연은 키 때문에 고민이다. 또래 아이들은 물론 친구 동생인 서현보다 작기 때문이다. ‘잘됐군!’ 아빠는 이 기회에 성장을 더디게 하는 태연의 나쁜 습관을 따끔하게 지적해줘야겠다고 생각했다. 먼저 성장호르몬의 마법을 설명해야겠다. “태연이 너 밤 12시 넘어서까지 게임하는 습관만 버려도 지금보다 키가 3~5cm는 더 자랄 텐데….” “게임이랑 키가 무슨 상관이에요! 아빠는 억지쟁이!” “게임보다는 시간과 관계가 있단다. 뇌 바로 밑에는 여러 호르몬이 분비되는 샘물인 ‘뇌하수체’가 있지. 이곳에서 키를 자라게 하는 ‘성장호르몬’이 나오는데 이 호르몬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시간은 자정부터 새벽 2시 사이야. 하지만 이때 잠을 자지 않고 깨.. 2009. 5. 17. “바보들의 재치를 받아들여야” ‘Creative Think’ 설립자가 제안하는 ‘창의성을 위한 도약’ ⑤ 2009년 05월 11일(월) 창의성이 왜 필요한가? 아마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과거와 달리 이제 모방과 베끼기만으로는 결코 살아남을 수 없는 시대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창의성이야말로 중요한 국제경쟁력이라는 것에 대부분 동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창의성은 비단 우수한 과학인재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창의성은 또한 영재나 수재에게만 타고난 능력도 아니다. 창의적인 능력은 내면 깊숙이 감춰진 인간의 본성이다. 이에 따라 과학문화와 창의성 제고에 앞장서온 사이언스타임즈는 기획시리즈 ‘창의성의 현장을 가다’ 기사를 마련했다. [편집자 註] ▲ 창의성은 호기심에서 나온다. 일상적인 틀에서는 호.. 2009. 5. 12. 웹 기반 전략이 출판매체에 미치는 영향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9-05-11 신문을 인쇄판에서 온라인판 또는 온라인 전용판으로 전환하는 것이 최대 75%까지 인쇄판 수입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시티대학교(City University London) 연구팀은 인쇄판을 포기하고, 웹 기반 전략을 도입한 핀란드의 경제 일간지 Taloussanomat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언론 분야에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대해 분석을 시도한 첫 사례이다. 인쇄판 발행을 중지하는 것이 웹 트래픽을 증가시킬 수 있을까? 시티대학 연구팀은 정확히 반대의 결과가 발생함을 밝혔다. 신문의 웹사이트 트래픽은 개선되지 않았다. 인쇄판 발행을 중지한 이후 5개월간 온라인 전용판의 방문자수는 22% 줄어들.. 2009. 5. 12. [플짤] EBS 지식채널 - 56점짜리 인생 2009. 5. 5. [음악] 박정현-꿈에(EBS 공감 LIVE) 2009. 5. 5.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