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26 스마트 스피커와 프라이버시 스마트 스피커는 이제 스마트 홈 시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기로 떠올랐다. 아마존 ‘에코’가 작년에 800만 대 이상 팔렸고, 관련 스킬(알렉사에 새로운 기능을 확장시키는 앱)이 1만 1,000개를 넘어서면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함에 따라 많은 거대 기업이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이미 구글이 작년에 ‘구글 홈’을 내놓고, 올해에는 드디어 애플이 ‘홈팟’을 소개했다. 삼성 역시 ‘빅스비’를 장착한 스피커를 준비 중이라는 소문이 나오고 있다. 삼성은 올해 초에 ‘삼성 헬로’라는 기기 상표권을 등록했다고 한다. ‘올웨이즈 온’… 24시간 노출된 프라이버시 음성 인식을 통한 대화형 기기들은 사용자가 호출하는 단어의 음성 명령을 인식해 요구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 기기는 항상 작동 상태, 즉 .. 2017. 7. 6. "불없이 요리하자"… 전기레인지 시장, 30만대→ 60만대 SK매직-쿠첸 양강에 삼성·LG전자 가세"불없이 요리하자"… 전기레인지 시장, 30만대→ 60만대대기업-중견기업 '프리미엄' 경쟁▲SK매직, 쿠첸 전기레인지 (왼쪽부터) ⓒ SK매직·쿠첸 여름철 전기레인지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가스레인지보다 유해물질 방출 위험이 적고 뜨거운 불 앞에서 조리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 2013년 30만대였던 국내 전기레인지 시장은 지난해 55만대로 성장했으며 올해 60만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개인 소비자 외에도 신축 아파트, 오피스텔 등에서 빌트인(붙박이식) 수요가 늘고 있어 추가적인 시장 성장도 예상된다. 전기레인지 종류는 크게 하이라이트, 인덕션, 하이브리드로 나뉜다. 상판을 직접 가열하는 방식은 하이라이트, 상판을 거치지 않고 자기장을 통해 용.. 2017. 6. 27. 포털-인터넷쇼핑업체, 앞다퉈 음성인식 진출 네이버, AI 앱 클로바 선보여다음 “연내 스마트홈 AI 출시”연동되는 앱-정보 확보가 승부처2012년 애플 시리의 한국 상륙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음성인식 인공지능(AI)은 지난해 10월 SKT 누구 출시를 시작으로 스마트폰과 스마트홈 서비스를 본격화했다. 이는 시작일 뿐이다. 포털사이트, 인터넷쇼핑 등 다양한 IT업체들이 자사 사이트ㆍ앱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미국에서는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영어 기반 음성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국내에서 네이버와 다음이 곧 서비스를 시작한다. 네이버는 12일 음성인식 AI 앱인 클로바 베타서비스를 출시했다. 스마트폰 안드로이드와 애플 운영체제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다. 네이버의 방대한 정보를 이용해 검색,.. 2017. 5. 30. 삼성전자 플렉스워시, '소비자 마음' 담은 세탁기 [히트상품]삼성전자 플렉스워시 삼성전자 (2,246,000원 9000 -0.4%)는 국가별 세탁기 사용자들의 세탁 행태를 조사한 결과, 국경을 초월해 대다수의 소비자가 세탁물을 종류나 재질이 비슷한 것끼리 나누어 세탁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삼성전자는 '3도어 일체형 올인원' 세탁기인 '플렉스워시'를 개발했다. 삼성 '플렉스워시'는 상부의 3.5kg(킬로그램) 전자동 세탁기 '콤팩트워시'와 하부의 대용량 드럼세탁기 '애드워시'를 일체형으로 설계했다. 세탁물의 종류와 양, 시간에 맞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동시 혹은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세밀하게 의류 관리를 하면서도 세탁에 필요한 에너지와 시간은 절감할 수 있다. 사용자 중심의 인체공학적 디자인도 적용했다. 사용이 잦은 소형 .. 2017. 5. 24. Google Home now supports multiple users 2017. 5. 2. 글로벌 칼럼 | 아마존이 보여준 “한 바구니에 담긴 달걀”의 위험성 최근 아마존의 미 동부 제1 데이터센터에 장애가 발생해 해당 센터에서 지원하던 아마존 S3 클라우드 서비스가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실로 참담했다. 이 사고로 인해 쿼라(Quora),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 넷플릭스(Netflix), 레딧(Reddit), 슬랙(Slack) 등 거대 사이트들의 운영이 전면 혹은 일부 중단되는 피해를 입었다. 시밀러테크(SimilerTech)의 조사에 따르면, 이번 장애로 영향을 받은 사이트는 총 12만 4,000곳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학에 다니는 필자의 한 지인으로부터도 “학교의 IT 기능이 마비돼 학생들이 과제에 접근하지 못하는 등 불편을 입었다”는 피해 사례가 전해졌다. 한 클라우드 컨설턴트는 아마존 웹 서비스.. 2017. 3. 9.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