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13 국내 출시 AI 스피커 현황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20/2017112002865.html 2017. 11. 27. LG 코드제로 A9 VS 다이슨 V8 VS 삼성 파워건 http://plan.danawa.com/info/index.php?nPlanSeq=372 2017. 11. 24. 인천공항, 4개국어 술술 하는 LG로봇 '채용' 안내·청소로봇 10대 시범서비스…"따라오세요" 목적지까지 에스코트 LG, 상업용 로봇 연말 본격 판매 "병원·호텔·기차역 등에서 효과적" LG전자가 개발한 상업용 로봇인 안내로봇과 청소로봇이 21일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출국장에서 LG전자의 로봇이 여행객을 안내하고 있다.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 휴가철을 맞아 인천국제공항을 드나드는 사람들은 앞으로 키 1m가량의 흰색 원통 물체가 돌아다니는 것을 쉽게 목격할 수 있게 된다. LG전자의 안내로봇과 청소로봇이 21일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국내 가전업체 중 상업용 로봇 사업을 본격적으로 개시한 것은 LG전자가 처음이다. 송대현 LG전자 H&A사업본부장(사장)은 “인천국제공항 시범 서비스를 시작으로 LG전.. 2017. 7. 24. 까칠한 소비자가 고른 의류건조기의 종류별 장단점과 추천 제품 최근 의류건조기의 장점이 많이 부각되면서 가정의 필수가전 중 하나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히트펌프와 콘덴싱 유닛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절반 이상 줄인 고효율 제품들의 출시로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구매효용성과 경제성이 크게 높아졌다. 가정용 의류건조기의 장점과 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 . 빠른 건조와 열풍살균으로 세탁물에서 쉰내가 나지 않는다 . 빨래를 1~2시간 이내로 완전 건조해 완료할 수 있다.. 빨래를 털고 널고 걷는 노동력이 절감된다 . 보풀이 제거된다, 직물이 뻣뻣해지지 않고 부드럽고 풍성하게 건조된다 단점 . 전력소모로 인한 전기사용료가 많이 나온다 . 잘못 조작할 시 열풍온도로 특정 직물의 수축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는 전기 의류건조기는 열풍 가열을 위해 전기에너지를 사용하.. 2017. 7. 11. 냉난방기 에너지효율 1등급 기준 대폭 강화 내년부터 비중 10% 미만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냉난방기의 절반에 가까운 제품에 붙어 있는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표시를 내년부터는 찾아보기 힘들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어컨 등 냉난방기 4개 품목에 대한 에너지소비효율 등급 기준을 강화해 내년 4월부터 적용한다고 6일 밝혔다.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제는 에너지 소비가 많은 전자제품이나 기자재를 사용량에 따라 1~5등급으로 구분해 표시하고, 최저소비효율 기준 미달 제품에 대해서는 제조 및 판매를 금지하는 제도다. 1992년 처음 도입돼 현재 27개 품목에 적용하고 있다. 이번에 등급 기준을 강화하는 품목은 1등급 비중이 높아 등급 간 변별력이 낮아진 냉방기, 냉난방기, 멀티히트펌프시스템(하나의 실외기에 다수 실내기가 연결된 사무용 냉난방 겸용 에어컨), 상.. 2017. 7. 7. 스마트 스피커와 프라이버시 스마트 스피커는 이제 스마트 홈 시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기로 떠올랐다. 아마존 ‘에코’가 작년에 800만 대 이상 팔렸고, 관련 스킬(알렉사에 새로운 기능을 확장시키는 앱)이 1만 1,000개를 넘어서면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함에 따라 많은 거대 기업이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이미 구글이 작년에 ‘구글 홈’을 내놓고, 올해에는 드디어 애플이 ‘홈팟’을 소개했다. 삼성 역시 ‘빅스비’를 장착한 스피커를 준비 중이라는 소문이 나오고 있다. 삼성은 올해 초에 ‘삼성 헬로’라는 기기 상표권을 등록했다고 한다. ‘올웨이즈 온’… 24시간 노출된 프라이버시 음성 인식을 통한 대화형 기기들은 사용자가 호출하는 단어의 음성 명령을 인식해 요구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 기기는 항상 작동 상태, 즉 .. 2017. 7. 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86 다음